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강서구 제1선거구(부산)

덤프버전 :

||
파일:강서구_제1선거구(부산)8.png
선거인 수58,235명 (2022년)
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
관할 구역
[ 펼치기 · 접기 ]
강서구 일부
대저1동, 대저2동, 강동동, 명지1동, 가락동
시의원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이종환 (재선)




1. 개요[편집]


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일부 지역을 관할한다. 김해국제공항이 이 곳에 위치해있어 부산을 비롯한 부울경항공 교통의 거점인 지역이다.[1]

원래 보수세가 초강세를 보였고 그나마 나오는 진보세도 인구가 비교적 있는 북부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[2], 명지국제신도시가 개발되면서 부산에서 가장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가장 강한 지역 중 한 곳으로 변모했다. 다만 농촌 지역도 다수 끼고 있다보니 녹산동까지 민주당세에 가담하는 옆 지역구보다는 보수세가 강하다. 그리고 아직까지는 그래도 국민의힘 지지세가 대체로 더 높은 편이라 격차에 차이가 있다 해도 다른 부산 지역처럼 7회 지선 때를 제외하면 모두 보수 성향의 후보가 승리했다.

2. 역대 선거 결과[편집]


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
강서구 제1,2,3선거구
제2대박광명
ta-hash-start=w-09c801fde871363d223ffdf96dd041e4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1995년 7월 1일 ~ 1998년 6월 30일[3]
전선택
무소속

[4]
조용원
ta-hash-start=w-5b122f7688ed82fe3d9ff4cfc37c36a6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[5]
강서구 제1,2선거구
제3대김원준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1998년 7월 1일 ~ 2002년 6월 30일[6]
구대언[7]
제4대김원준2002년 7월 1일 ~ 2006년 6월 30일[6]
강인길2002년 7월 1일 ~ 2005년 4월 1일[8][7]
제5대이성두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06년 7월 1일 ~ 2010년 6월 30일[6]
조용원[7]
제6대이병조
무소속

2010년 7월 1일 ~ 2014년 3월 12일[9][6]
이종환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[7]
강서구 제1선거구
제7대김진용
ta-hash-start=w-118c6414bfdd24593df92c122223f804[[파일: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.svg
2014년 7월 1일 ~ 2018년 6월 30일[10]
제8대김동일
파일: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8년 7월 1일 ~ 2022년 6월 30일[11][12]
제9대이종환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2022년 7월 1일 ~ 현재

2.1.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강서구 제1선거구
대저1동, 대저2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광명(朴光明)5,5391위

ta-hash-start=w-5baa0eb72ac0b73597c4c059aaa4958e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37.04%당선
2김덕건(金德健)3,1163위

무소속

20.84%낙선
3박정길(朴正吉)4,2642위

무소속

28.51%낙선
4조광래(趙光來)2,0344위

무소속

13.60%낙선
선거인 수22,164투표율
70.53%
투표 수15,633
무효표 수681

강서구 제2선거구
강동동, 명지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서판명(徐坂明)5,3892위

ta-hash-start=w-63a24a588a38679d827e8fcdd8ddff67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48.43%낙선
2전선택(全善鐸)5,7381위

무소속

51.56%당선
선거인 수15,766투표율
73.91%
투표 수11,653
무효표 수526

강서구 제3선거구
가락동, 녹산동, 천가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조용원(趙鏞元)4,6971위

ta-hash-start=w-d8385c155d3bd3e645aecde003c1930c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43.10%당선
2구대언(具大彦)3,9742위

무소속

36.47%낙선
3김진옥(金陳玉)2,2253위
20.42%낙선
선거인 수13,895투표율
82.13%
투표 수11,412
무효표 수516

2.2.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강서구 제1선거구
대저1동, 대저2동, 강동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원준(金元俊)10,5831위
67.26%당선
4박광명(朴光明)5,1512위
32.73%낙선
선거인 수28,332투표율
57.76%
투표 수16,365
무효표 수631

강서구 제2선거구
명지동, 가락동, 녹산동, 천가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구대언(具大彦)15,4841위
58.64%당선
2강재권(姜在權)7804위
6.36%낙선
4조용원(趙鏞元)3,1993위
26.10%낙선
5강인길(姜仁吉)3,6522위
28.80%낙선
선거인 수20,981투표율
62.53%
투표 수13,121
무효표 수867

2.3.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강서구 제1선거구
대저1동, 대저2동, 강동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원준(金元俊)8,1861위
56.95%당선
3박광명(朴光明)3,2392위
22.53%낙선
4서판명(徐坂明)2,9473위
20.50%낙선
선거인 수25,998투표율
57.59%
투표 수14,974
무효표 수602

강서구 제2선거구
명지동, 가락동, 녹산동, 천가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-강인길(姜仁吉)-1위
-무투표 당선
선거인 수-투표율
-
투표 수-
무효표 수-

2.4.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강서구 제1선거구
대저1동, 대저2동, 강동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형복(金炯福)3,9332위
27.53%낙선
2이성두(李成斗)6,0071위
42.05%당선
4박상봉(朴相奉)7855위
5.49%낙선
6박광명(朴光明)1,3884위
9.71%낙선
7정병준(鄭秉俊)2,1693위
15.18%낙선
선거인 수24,979투표율
58.11%
투표 수14,517
무효표 수235

강서구 제2선거구
명지동, 가락동, 녹산동, 천가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홍대(李弘大)2,7532위
22.78%낙선
2조용원(趙鏞元)4,7371위
39.20%당선
6공광욱(孔光旭)1,3294위
10.99%낙선
7김국정(金國正)2,0873위
17.27%낙선
8이정중(李正仲)1,1765위
9.73%낙선
선거인 수19,817투표율
62.38%
투표 수12,362
무효표 수280

2.5.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강서구 제1선거구
대저1동, 대저2동, 강동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성두(李成斗)5,7322위
42.88%낙선
7이병조(李炳祚)7,6331위
57.11%당선
선거인 수23,255투표율
59.63%
투표 수13,867
무효표 수502

강서구 제2선거구
명지동, 가락동, 녹산동, 천가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종환(李種煥)6,5921위
42.54%당선
7조용원(趙鏞元)5,6282위
36.32%낙선
8공광욱(孔光旭)3,2753위
21.13%낙선
선거인 수27,582투표율
58.24%
투표 수16,065
무효표 수570

2.6.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강서구 제1선거구
대저1동, 대저2동, 강동동, 명지동(1~15,18~20통), 가락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진용(金進龍)8,1751위
48.49%당선
3이대진(李大珍)1,5174위
8.99%낙선
4조경환(曺敬煥)3,5952위
21.32%낙선
5이성두(李成斗)3,5703위
21.17%낙선
선거인 수30,051투표율
57.79%
투표 수17,367
무효표 수510

2.7.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강서구 제1선거구
대저1동, 대저2동, 강동동, 명지1동, 가락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동일(金同一)15,3231위
61.32%당선
2서광수(徐光洙)9,6632위
38.67%낙선
선거인 수42,429투표율
60.63%
투표 수25,728
무효표 수742

2.8.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강서구 제1선거구
대저1동, 대저2동, 강동동, 명지1동, 가락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동일(金同一)11,2622위
41.82%낙선
2이종환(李種煥)15,6621위
58.17%당선
선거인 수58,235투표율
47.25%
투표 수27,516
무효표 수592
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동일 시의원이 그대로 단수공천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.

국민의힘에서는 김진용 전 시의원은 구청장 선거를 준비중이고[13], 서광수 전 시청 비서관은 낙선 이후 정치적 행보가 없어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. 지난 지선 때 구청장 선거에 출마했다 낙선한 이종환 전 시의원[14]이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.

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:1구도가 형성되었다.

개표 결과 국민의힘 이종환 후보가 여유롭게 8년만에 시의회에 복귀했다. 세부적으로 보면 역시나 명지1동에서 54.9% : 45.1%로 가장 좁은 격차였으며 유일하게 한 자릿수 격차였다. 그리고 대저2동에서 56.1% : 43.9%로 의외로 김동일 후보가 40%를 넘었다. 하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이종환 후보가 60% 후반대의 더블 스코어로 압살하며 격차를 16%p 이상까지 더 벌렸다.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7.9% : 42.1%로 일반적으로 더불어민주당에게 비교적 우호적인 표심이 나오는 양상과는 달리 관내투표와 유의미한 차이는 나지 않았다. 그나마 같이 치러진 부산광역시장 선거나 강서구청장 선거에 비하면 높은 득표율을 올렸고, 이번 부산시의원 선거 에서 더불어민주당이 40% 이상 받은 5곳 중 한 곳이 되면서 부산에서 가장 강한 민주당세를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.


[1] 가덕도신공항이 개항할 경우 옆 지역구로 이 역할이 옮겨질 예정이다.[2] 5회 지선만 봐도 부산광역시장 선거에서 김정길 후보가 이긴 곳이 대저동강동동이였다.[3] 강서구 제1선거구 (대저1동, 대저2동)[4] 강서구 제2선거구 (강동동, 명지동)[5] 강서구 제3선거구 (가락동, 녹산동, 천가동)[6] A B C D 강서구 제1선거구 (대저1동, 대저2동, 강동동)[7] A B C D 강서구 제2선거구 (명지동, 가락동, 녹산동, 천가동)[8] 2005년 상반기 재보선 강서구청장 재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. 보궐선거를 치루지 않기 위해 보궐선거 해당 시한을 지난 뒤 사퇴해버리면서 보궐선거를 치루지 않게 되었다.[9] 6회 지선 강서구청장 재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.[10] 대저1동, 대저2동, 강동동, 명지동(1~15,18~20통), 가락동[11] 대저1동, 대저2동, 강동동, 명지1동, 가락동[12] 2018년 1월 1일에 명지동이 명지1,2동으로 분동됐다.[13] 막상 김형찬 후보가 단수공천 받으며 컷오프되었다. 이에 반발하여 무소속 출마 선언을 했으나, 실제로 출마하진 않았다.[14] 초선 당시 지역구는 낙동강 이서 지역과 명지동으로, 현재 지역구 기준으로 옆 지역구와 지역구가 더 많이 일치하긴 하나, 가락동명지동이 이 지역에 속해있고 보수세도 비교적 더 높은 편이라 여기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.